2021. 12. 2. 23:00ㆍ물리
이번 포스팅에는 저항이 병렬일 때 합성 온도 계수에 대해 알아보자.
그 전에 저항의 온도 계수 직렬 연결 편을 먼저 보고 오기 바란다. https://pilgigo.tistory.com/entry/%EC%A0%80%ED%95%AD-%EC%98%A8%EB%8F%84-%EA%B3%84%EC%88%98-%EC%A7%81%EB%A0%AC%EC%97%B0%EA%B2%B0
저항 온도 계수 직렬연결
우리는 온도 계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저항이 직렬연결된 경우 합성 온도 계수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온도 계수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께서는 https://pilgigo.tistory.com/12여기를 참고
pilgigo.tistory.com
병렬 연결일 때의 합성 온도 계수 공식은 딱히 의미가 있지 않다.
그럼에도 병렬일 때의 공식이 어떻게 나오는가? 에 대한 호기심이 있을 까봐 이 주제를 다루어 보겠다.
호기심은 소중하니까~~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다고 하자.

t1은 처음 온도 이고 t2는 나중 온도 이다.
사진에 나와있듯 t2가 t1보다 더 크다.
이제 관계식을 세워보자.

여기서 부터 식 유도가 이루어 지는데,
저항으로 계산하는 것 보단 컨덕턴스로 계산하는것이 훨씬 간단해진다.
컨덕턴스란 저항값의 역수를 말한다.
위의 각 저항들에 컨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다시 쓰면


이것이 우리가 알고자 한 식이다.
'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류와 R L C (0) | 2021.12.19 |
---|---|
전자기학에 쓰이는 단위 (0) | 2021.12.04 |
실효값 (0) | 2021.11.13 |
RC직렬 직류 회로 (0) | 2021.11.10 |
저항 온도 계수 직렬연결 (0) | 2021.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