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29. 16:57ㆍ물리
이번 편은 교류와 R L C 3편이다.
2편을 보지 않은 분들께서는
https://pilgigo.tistory.com/entry/RL%EC%A7%81%EB%A0%AC-%EA%B5%90%EB%A5%98%ED%9A%8C%EB%A1%9C
RL직렬 교류회로
이번 편은 교류와 R L C의 2편이다. 1편을 보지 않았다면 https://pilgigo.tistory.com/entry/%EA%B5%90%EB%A5%98%EC%99%80-R-L-C 교류와 R L C 이번 편은 교류와 R L C 1편이다. 교류와 R L C 주제는 대략 1편~8..
pilgigo.tistory.com
여기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의 내용을 보기전 꼭 먼저 알고 있어야하는 수학이 있습니다.
반드시 삼각함수 합성공식과 페이저에 대해 1편 부터 5편 까지 모두 보고오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 뿐만 아니라 교류와 RLC의 1편 부터 모든 편 까지 모두 필요한 수학 개념 입니다.)
삼각함수 합성공식과 페이저
전기과를 다니는 학생 분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수학이 여러 가지 있는데, 이번에는 그중 하나인 삼각함수 합성 공식과 페이저와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이번 주제는 1편 2편 3
pilgigo.tistory.com
삼각함수 합성공식과 페이저 2편
우리는 1편에서 삼각함수 합성 공식을 증명해 보았다. 만약 보지 않았다면 보고 오기 바란다. https://pilgigo.tistory.com/entry/%EC%82%BC%EA%B0%81%ED%95%A8%EC%88%98-%ED%95%A9%EC%84%B1%EA%B3%B5%EC%8B%9D%EA..
pilgigo.tistory.com
삼각함수 합성공식과 페이저 3편
이번에는 삼각함수와 페이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그전에 1편과 2편을 보지 않으신 분들께서는https://pilgigo.tistory.com/entry/%EC%82%BC%EA%B0%81%ED%95%A8%EC%88%98-%ED%95%A9%EC%84%B1%EA%B3%B5%EC%8B%9..
pilgigo.tistory.com
극좌표의 곱셈과 나눗셈
#페이저 함수의 곱과 나눗셈 #극좌표의 곱과 나눗셈 #극형식의 곱과 나눗셈 이번에는 극형식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해 증명해 보자. (이번 편은 삼각함수 합성 공식과 페이저 함수 4편이다.) 1,2
pilgigo.tistory.com
삼각함수와 페이저의 문제풀이
이번 편은 삼각함수 합성 공식과 페이저 함수의 5편이다. 우리는 1,2,3,4편을 통해서 삼각함수 합성 공식과 페이저 함수에 대해 많은 것 들을 알아보았다. 이번 5편에는 1,2,3,4편의 내용들을 확실히
pilgigo.tistory.com
이번에는 RL병렬 교류 회로에 대해 알아볼 거다.
아래와 같은 회로가 있다 하자.
이 상황에서 가장 먼저 세울 수 있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는 키르히호프 제1법칙인 전류 법칙에 의해 세워진 식이다. (KCL법칙)
위 회로를 보면 병렬회로임을 알 수 있다.
병렬연결의 성질에 의해
R에 걸리는 전압과
L에 걸리는 전압은
전체 전압 값으로 같다.
그리고 R과 L에 대한 기본 공식인
이 공식을 통해
임을 알 수 있다.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이 된다. (단 교류 이므로 적분 상수는 0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이 회로에 대해 해석해 보자.
회로를 해석할 때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뉘는데,
2편에서 RL직렬 교류회로 해석할 때처럼
전압이 주어질 때 전류를 구하는 방법과
전류가 주어질 때 전압을 구하는 방법을 해석할 거다.
먼저 전압이 주어질 때 전류를 구하는 방법부터 알아보자.
어떻게 하면 될까?
먼저
이 식을
여기에 대입한다. 그러면
이 된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전류가 주어질 때 전압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어떻게 하면 될까?
우리는 위에서 전압이 정현파일 때 전류 또한 정현파의 형태로 나온다는 것을 계산하였다.
그 말은 즉, 다시 말해서
전류가 정현파라면 전압은 정현파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최댓값과 위상각은 모르나(이를 구하는 것이 목적!!)
시간에 따른 전압 함수를 다음과 같이 놓을 수 있다.
이를 아까와 같이
여기에 넣고 계산하는 과정을 거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여기까지가 삼각함수 해석 방법이다.
이제 페이저 해석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이 회로에서의 값들을 2편에서 했던 것처럼(RL직렬 교류회로 때처럼)
이렇게 바꾸어 준다.
그리고 전류와 전압을 다음과 같이 정의해 준다.
그럼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대입하여 계산하면
이렇게 되고
따라서
이다.
그러므로
이를 삼각함수로 변환하면 삼각함수 해석방법에서의 결과와 같아지는 것이다.
이것이 페이저 해석 방법이다.
4편에는 RC직렬 교류회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4편에 계속.https://pilgigo.tistory.com/entry/RC-%EC%A7%81%EB%A0%AC-%EA%B5%90%EB%A5%98%ED%9A%8C%EB%A1%9C
RC 직렬 교류회로
이번 편은 교류와 R L C 4편이다. 3편을 안 보신 분들께서는 https://pilgigo.tistory.com/entry/RL-%EB%B3%91%EB%A0%AC-%EA%B5%90%EB%A5%98%ED%9A%8C%EB%A1%9C RL 병렬 교류회로 이번 편은 교류와 R L C 3편이다...
pilgigo.tistory.com
'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C 병렬 교류회로 (1) | 2022.01.16 |
---|---|
RC 직렬 교류회로 (0) | 2022.01.09 |
RL직렬 교류회로 (0) | 2021.12.22 |
교류와 R L C (0) | 2021.12.19 |
전자기학에 쓰이는 단위 (0) | 2021.12.04 |